종합소득세 국내에 장기간 체류한 외국국적동포의 세법상 거주자 여부
페이지 정보

본문
Q. 대한민국에 체류한지 4년이 넘는 외국국적동포(외국국적동포 국내거소신고증 소지)가 저희 기관에 자문, 강연을 하는 경우, 거소기간이 183일이 넘었으므로 거주자로 보아 내국인과 동일하게 총 기타소득 원천징수를 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A. 소득세법상 "거주자"란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의 거소(居所)를 둔 개인을 말하며, ‘비거주자’는 거주자가 아닌 자로, 국외에 거주 또는 근무하는 자가 외국국적을 가졌거나 외국법령에 의하여 그 외국의 영주권을 얻은 자로서 국내에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이 없고 그 직업 및 자산상태에 비추어 다시 입국하여 주로 국내에 거주하리라고 인정되지 아니하는 때에는 비거주자로 보고 있습니다.
여기서 주소의 의미는 단순히 주민등록상의 등록지가 아닌, 국내에서 생계를 같이 하는 가족 및 국내에 소재하는 자산의 유무 등 생활관계의 객관적 사실에 따라 납세자가 항구적으로 주거하는 장소(생활의 근거지)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또한, 한 개인이 양쪽 체약국의 세법에 따라 이중거주자에 해당하는 경우, 조세조약에 따라 순차적으로 거주지국을 판단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거주자 비거주자 여부는 국적보다 우선하여 주소, 거소 및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 및 자산의 보유, 직업 등을 종합하여 판단할 사항인 것입니다.
다만, 제한적인 정보만 제시하는 귀 질의에서, 외국국적동포가 주한외교관 및 그 외교관의 세대에 속하는 가족(신분에 의한 비거주자)이 아닌 경우, 한국에 체류한지 4년이 넘었으므로 생활의 근거지는 한국으로 보아 거주자에 해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관련규정 : 소득세법 제1조의2[정의], 동법 시행령 제2조[주소와 거소의 판정], 서면인터넷방문상담1팀-1556, 2006.11.16.
- 이전글해외부동산 명세서 중 임대소득 포함시기 23.03.16
- 다음글연부취득 중 매매계약이 해지된 경우 회수하지 못한 계약금에 대한 취득세 환급 가능 여부 23.03.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